본문 바로가기

도비의 국제기구 도전기

[도비의 국제기구 도전기] ③ UNHCR 한국대표부 서류 합격 후기

서류 마감일인 1월 9일, 나는 열심히 한국어 이력서와 영문 이력서를 꼼꼼히 작성하였고 뿌듯한 마음으로 '지원하기' 버튼을 누르고 잠이 들었다. 연락올 날만을 기다리면서.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인턴십 공고란에 [유엔난민기구(UNHCR) 한국대표부 ODA YP 모집(연장 공고)] 가 뜬 것이다. 내가 지원 했던 공고가 연장이 되다니! 이게 무슨 뜻일까? 접수한 지원서가 별로 없었을까? 내가 낸 지원서가 탐탁치 않아서 다른 사람을 찾는 것일까? 나는 탈락인걸까? 별의 별 생각을 하면서 아,, 경쟁자가 더 많아지겠네 힘들겠다..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며칠 후 엄마랑 전시회 갔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 늦은 오후였다. 모르는 02 로 시작하는 서울 번호가 뜨길래 안받았더니, 곧바로 다시 또 전화가 걸려왔다. '이건 뭔가 중요한 거다' 라는 직감이 들어 전화를 냉큼 받았다. 바로 유엔 난민기구 한국대표부에서 온 전화였다.

 

이유는 즉슨 내가 낸 지원 중 영어 홈페이지에서 냈어야 할 지원서가 도착하지 않았다며 빨리 내달라는 이야기였다. 모집 연장공고는 1월 12일 24시까지였고, 전화가 온 날은 12일 오후 3시였다. 모든 것이 빠르게 정리되었다. 그렇다. 그 연장공고는 나때문이었던 것이다.

 

(물론 전혀 그렇게 말씀하시지 않았지만! ㅋㅋ 나중에 아빠에게 얘기하니 그래서 그런거라고 하더라. 난는 그 말을 그냥 믿기로 했다. 멘탈 관리를 위하여!)

 

한국어 이력서는 잘 전달 되었는데, 영문 지원이 무슨일인지 접수가 되지 않았다니.  곧바로 UNHCR 지원 홈페이지로 들어가 지원 이력을 확인해보니 내 지원서가 failed 처리 되어있었다. 이유는 알 수 없었다.

 

똑같이 작성하여 두 번을 더 지원해보았다. 두번 모두 failed 처리가 되었다. 왜 자꾸 실패했다고 뜨는걸까. 이유를 알수가 없었다. 그런데 failed 칸 아래 '지원서가 failed 되는 이유' 에 대한 조그마한 설명이 메모되어 있었다. 

 

시스템이 지원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technical problem인 경우가 제 1 이유였다. 이 경우 지원 요건이 맞지 않는 경우에 그럴 수 있다고 한다. 영어를 못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거나 등등 그 때 바로 내 머릿속을 스치는 한 단어가 있었으니.. 바로 영어!

 

이력서를 토대로 자동 이력 기입 시스템을 통해 지원서를 작성했는데 이때 내 이력서에 영어가 fluent가 아닌 intermediate로 되어 있었다. 분명 YP 프로그램 지원 자격기준이 영어를 Fluent하게 하는 사람이었지만, 모든 한국사람의 마음이 그렇듯, 자신의 영어 실력을 선뜻 유창하다고 말할 순 없었던 나는 중간 정도 한다고 써놓았던 것이다. 시스템은 '얘는 영어가 중간 실력이네, 지원 자격이 안되니까 지원할 수 없어' 라고 여겨 내 지원서를 failed 처리 한 것이었다. AI 이 똑똑한 ㄴㅗㅁ.. 

 

밑져야 본전이지 생각하며 영어를 Fluent로 바꾸고 다시 지원해보니 지원 현황이 applied 로 바뀌더라. 이 것때문이 맞았네....^^ 씁쓸했다. 

 

혹시 나와 같이 본인의 영어 실력에 대한 회의와 겸손함을 가지고 계신 분이 계시다면, 꼭 그러지 마시라고 내 영어실력은 유창해! 라고 생각하시며 fluent 라고 적으시라 말씀드리고 싶다. 아님 지원 자체가 어려울테니! 

 

서류는 사실 합격할 것 같았다. 왜냐하면 내가 영어 서류를 빠뜨렸다고 대표부에서 전화까지 왔기 때문이다. 내 한국어 서류가 마음에 들었기 때문에 빨리 영어 서류를 내야 1차 합격자로 추릴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해서 서류는 합격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영문 서류를 부랴부랴 재 제출한 바로 다음 날, 서류 합격 메일을 받았다. 

 

따끈 따끈한 면접 후기는 다음 포스팅에!